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무작정 따라하며 블로그 수익 창출하기 - 구글 서치 콘솔

by D.O.T 2024. 2. 6.

이번엔 블로그를 구글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서 등록하도록 해보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이란?

우리 블로그는 하나의 '웹 사이트'입니다. 서치 콘솔은 웹 사이트를 구글에 쉽게 노출 시켜주는 도구입니다.

구글에 어떤 키워드를 검색을 하게 되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내용들이 포함된 사이트 목록을 노출시켜주죠?

거기에 우리 블로그를 포함 시키는 것입니다.

 

구글에서 말하기를 서치 콘솔에 등록하지 않아도 구글 검색에는 등록이 된다고 합니다.

대신 서치 콘솔을 이용해 트래픽을 좀 더 쉽게 관리하고 이 트래픽을 바탕으로 구글에 노출시켜주는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죠. 이번 포스트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 블로그를 구글에 노출 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서치 콘솔 플러그인 사용

관리 - 플러그인

1. 계정 연결하기 누르기

2.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할 계정으로 로그인 하기

3. 모든 약관에 동의하고 그냥 연결하기

4. 적용

끝. 참 쉽죠?? : )

 

추가 작업

 

관리 - 블로그

추가적으로 서치 콘솔에 등록하게 되면 검색이 잘되어야 하겠죠?

호스트 주소를 '문자', RSS 공개를 50개로 설정하면 되겠습니다.

 

호스트 주소의 경우는 큰 상관이 없지만 구글에서 문자로 된 도메인을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

RSS는 https://dev-dot.tistory.com/rss 와 같이 블로그 주소/rss에서 확인 할 수 있는 XML 문서입니다.

RSS 공개 개수는 rss XML에서 item이 최대 몇 개인지를 나타내는 것 인데요.

이 item은 가장 최신의 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즉, 구글에서 블로그 글이 업데이트 됐는지 알 수 있는 매개체가 rss이며 가장 최신의 글들을 위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50개로 설정해놓으면 최신 글 50개에 대한 item이 생성이 되죠.

최신 글은 빨리 빨리 보여지면 좋으므로 RSS에 등록을 해야하고, 많은 글에 대한 최신 정보를 던져줄 수 있는 정보입니다.

 

tistory 블로그에서 전달할 수 있는 최대 item 개수가 50개라서 보여줄 수 있는 최대치를 다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제대로 등록이 되었을까?

우리의 블로그를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했다면 제대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등록 확인하기

 

서치 콘솔 링크에서 직접 등록하고 확인하는 방법도 있지만 우리는 플러그인을 활용했으므로

플러그인을 통해 서치 콘솔에 접속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리 - 플러그인 - 구글 서치콘솔

 

구글 서치 콘솔 플러그인에 들어가면 접속할 수 있는 링크가 있습니다. 클릭 해주면 되겠습니다.

 

사이트 맵 등록하기

 

사이트 맵은 우리 블로그 URL (httsp://dev-dot.tistory.com)에 등록 된 모든 게시글들의 URL을 갖고 있는 XML입니다.

sitemaps

우리는 구글 색인에 등록되기 위해 모든 게시물들의 주소와 게시물들의 정보를 주어야합니다.

게시물 주소 : 링크용

게시물 정보 : 검색용

 

아래와 같이 rss와 sitemap을 추가하면 되는데요.

기본적으로 sitemap.xml이 추가가 되어 있을 겁니다. (저의 경우는 그랬어요.)

그럼 sitemap을 굳이 추가할 필요 없습니다. 

https://dev-dot.tistory.com/sitemap 

https://dev-dot.tistory.com/sitemap.xml

링크에 들어가보시면 아시겠지만, 네 둘 다 같은 애입니다.

 

그리고 하나 이슈가 있습니다.

rss와 sitemap을 등록하게 되었을 때, 상태가 '성공'이 아닌 '가져올 수 없음' 일 것입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새로 등록할 때 마다 색인이 업데이트 되더라구요.

sitemap.xml같은 경우는 default로 작성되어 있을 겁니다.

 

rss가 문제인데요. 저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추천합니다.

1. rss를 등록한다.

2. 같은 주소인 rss로 또 등록한다.

3. 해당 사이트 맵에 들어가서 게시글 수만큼 블로그 페이지 수가 색인되었는지 확인한다.

 

1번부터 3번 과정을 반복하면 됩니다 ㅎㅎ.


위 과정까지 마쳤다면 구글에 site:dev-dot.tistory.com 과 같이 site:블로그주소 를 입력합니다.

만약, 구글에 제 블로그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노출이된다면 구글 서치 콘솔에 제대로 등록이 되었다고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설정하는 경우에는 1~2일 정도 평가 (?) 시간이 걸린다고 하네요.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바로 안뜨네요 ; - ;

 

참고 블로그

 

https://yeko90.tistory.com/

 

꼬예

인공지능(챗gpt) 및 티스토리 가이드를 연재합니다.

yeko9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