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0

8. 반복문 - for 문 반복문이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반복문이란 말 그대로 반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문법을 뜻한다.반복문에는 잘 알려진 for문과 while문이 존재한다.추가로 do while문도 존재하는데 아직 까지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을 하지 않았다. for문 for문은 기본적인 문법으로 대부분의 사람이 잘 알고 있다.하지만, 생각보다 헷갈려하는 포인트들이 있어서 그것을 짚기 위해서 가져왔다. 우선, 웬만한 책에서 설명하는 for문의 기본 구성은 아래와 같다.for (int i = 0; i  대부분 여기서 int i = 0 을 초기값, i for (초기값; 조건식; 증감식)근데 저는 헷갈리던 부분이 좀 있었습니다.맨 처음 for문을 접했을 때, 조건식이 ' i ' 이면 i 인가? 라는 생각 때문에 조금.. 2024. 2. 10.
7. 다차원 배열 (Multi Dimensional Array) 2차원 배열이란? 우리는 2차원 배열에 익숙하다. 지금 이 글을 보는 화면도 x by y의 해상도를 가진 2차원 배열이다. 2차원 배열의 경우, 1차원 배열이랑 다를게 없어서 솔직히 뭘 써야 할 지 모르겠다.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되는게 2차원 배열이라서... 1차원 배열이 배열 형태를 띠는 것이 2차원 배열입니다. 어떻게 봐야할까요? 변수 큐브를 생각해봅시다. 우리 눈에는 3차원으로 보이는 해당 큐브는 한 블럭이 단위입니다. 컴퓨터에서도 똑같이 int cube 라고 하면 저 한 블럭은 int 정보를 갖게 되는 것이에요. 선형 배열 (1차원 배열) 그럼 배열은? 지갑을 설명했듯, 큐브에서도 보일 수 있는데요. 같은 '단위'를 기준으로 크기를 가진 것이 배열인데요. 해당 사진에서는 block이 3개 있다는.. 2024. 2. 10.
6. 배열 (Array) 블로그 글을 열심히 써보려고 했지만, 최근에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많이 갖게 되었습니다.결국 블로그 글을 작성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고. 글을 주로 쓰려고 합니다.다만, 제 생각을 정리하고 기본을 다시 채우는 느낌의 블로그라서 공부의 지침서가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몇 번씩, 방문하면서 제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께 감사합니다! 배열이란 무엇일까?배열은 자료구조 관점에서 보면 상당한데요.현재 글의 카테고리는 Java의 기본이론이므로 단순하게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실과 빗대어 생각해보자. 숫자가 `1, 2, 3, 4`의 형태를 띠고 있으면 우리는 '수가 나열되어 있다.' 라고 하죠?글자가 `ㅈ, ㅣ, ㄱ, ㅏ, ㅂ`의 형태를 띠고 있을 때, 올바른 글자로 '배열'해 보세요. 라고도 하죠?올바르게 배열 한다면.. 2024. 2. 10.
5. 연산자(Operator)와 연산 순위 연산자란 ? 우리는 연산자에 대해 이미 알고 있습니다. +, -, *, / 와 같은 연산 기호를 의미하는데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사칙 연산 외에도 다양한 연산자가 있습니다. 사칙연산 + 나머지 연산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8, b = 4; System.out.printf("a + b = %d\n", a + b); System.out.printf("a - b = %d\n", a - b); System.out.printf("a * b = %d\n", a * b); System.out.printf("a / b = %d\n", a / b); System.out.printf("a %% b = %d\n", a .. 2024. 2. 10.
4. STL 따라잡기 - 이중 연결 리스트 (Doubly Linked List) 구현 이중 연결 리스트란 ? 여기서 연결 리스트에 대한 개념을 알게 되었고 여기서 단순 연결 리스트를 구현해보았다. 또, 앞선 포스팅에서 연결에 대한 방법을 말했는데 '이중 연결 리스트' 는 양방향(이중)으로 구성된 자료구조이다. 즉, 싱글 연결 리스트는 코스 여행이라면 이중 연결 리스트는 자유 여행이다. 이에 대해선 내가 생각한 예시이기 때문에 한 번 생각해보고 비슷한 예시를 찾아서 본인만의 개념으로 이해하길.. 이번 STL 따라잡기 포스트는 standard library인 list를 만들어보겠다. 먼저, list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 한 번 알아보자. 우리는 STL list에 어떤 기능이 구현되어있는지 파악한 뒤에 이를 정리할 것이다. 깃허브 이슈에 구현할 내용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레파지토리에 저장할.. 2024. 2. 7.
무작정 따라하며 블로그 수익 창출하기 - 구글 서치 콘솔 이번엔 블로그를 구글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서 등록하도록 해보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이란? 우리 블로그는 하나의 '웹 사이트'입니다. 서치 콘솔은 웹 사이트를 구글에 쉽게 노출 시켜주는 도구입니다. 구글에 어떤 키워드를 검색을 하게 되면,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내용들이 포함된 사이트 목록을 노출시켜주죠? 거기에 우리 블로그를 포함 시키는 것입니다. 구글에서 말하기를 서치 콘솔에 등록하지 않아도 구글 검색에는 등록이 된다고 합니다. 대신 서치 콘솔을 이용해 트래픽을 좀 더 쉽게 관리하고 이 트래픽을 바탕으로 구글에 노출시켜주는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죠. 이번 포스트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 블로그를 구글에 노출 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대한 자세한 내용.. 2024. 2. 6.
무작정 따라하며 블로그 수익 창출하기 - 기초 셋팅 (2 / 2) 수익 창출을 위한 기초 세팅 두 번째 포스트입니다. 블로그에 대해 공부를 하다보니 기초 셋팅 포스트가 2편만으로는 안되겠더라구요. 일단, 총 몇개의 볼륨이 나올지 모르겠지만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블로그 수익 창출을 위해서는 이번 포스트가 더 중요합니다! 이전 포스트는 이전 포스트에서는 블로그의 '가독성'이나 '가시성'이 포커스였다면, 이번에는 정말로 '블로그의 수익'이 포커스가 됩니다. SEO 및 HTML 설정을 진행하겠습니다. SEO (Serach Engine Optimization) 란? SEO는 검색 엔진을 최적화하는 방법인데요. 우리 블로그가 검색엔진에 등록해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보여져야 하겠죠? 그 때, 상단에 노출되거나 좀 더 효율적이게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참고하는 블로그 에서는 .. 2024. 2. 5.
3. STL 따라잡기 - 단순 연결 리스트 (Singly Linked List) 구현 단순 연결 리스트란 ? 이전 2. Linked List (연결 리스트) 포스트에서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연결리스트는 데이터 간에 '연결'되어 있다고 했는데, 연결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A 에서 B로 갈 때(단방향), A ㅡ> B 또는 B ㅡ> A A 에서 B로 가고 B에서도 A로 갈 수 있을 때(양방향), A B 또는 A ㅡ B 단순 연결리스트는 이 중, 단방향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단순 연결리스트이다. 대신, 주의할 점이 있다. A가 시작점, B가 종점인 경우에는 B에서 A로 갈 수 없다. 즉, 순환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A ㅡ> B ㅡ> A ㅡ > B ( X ) A ㅡ> B ㅡ> 끝 ( O ) 단순 연결리스트는 이게 끝이다. 그럼, 주로 어떻게 사용되고.. 2024. 2. 4.
2.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연결 리스트란 ? 먼저, List를 생각하면 쭉 ~ 나열되어 있는 것이 떠오르시나요? 연결 리스트는 말 그대로 쭉 ~ 나열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것이죠. 어? 쭉 ~ 나열되어있고 연결되어있는 것은 '배열' 아닌가요? 맞습니다. 자료구조의 기본이자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것은 배열입니다. 그럼 연속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배열(Array)가 있는데 왜 Linked List를 사용하나요? 배열과 Linked List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각 자료구조는 필요에 따른 사용처가 있고, 사용자가 유동적으로 사용해야 함을 표현했습니다. 그래서 배열이라는 자료구조에 대해 알고 Linked List라는 자료구조와의 차이점을 알아야합니다. 차이점을.. 2024. 2. 4.